본문 바로가기

교통사고 상담

경기도교통연수원은 올바르고 안전한 교통문화정착에 앞장섭니다.

교통사고 상담 상세보기 - 제목, 카테고리, 작성자, 내용, 파일 정보 제공
급발진의심사고 관련
작성자 : 한기원
카테고리 자동차 관리법 및 정비

안녕하세요.


교통사고 처리/분석 코너에 볼보 급발진의심 사고 관련 글을 올렸던 사람입니다.


답글은 잘 읽었습니다. 말씀하신대로 사고처리는 보험 접수하여 현재 처리 진행중에 있으며 차량은 더 이상 그 차를 운전할 수 없을것 같아 차를 저에게 팔았던 중고차 딜러에게 사고경위를 그대로 말하고 되팔았습니다.


뉴스에서나 보던 급발진 사고를 직접 당하고 보니 차를 운전할 때 마다 그 때 생각을 떨쳐버릴수가 없네요.


그렇다고 운전을 안 하고 다닐수도 없는 노릇이고.....


급발진관련 사고처리 방법이나 급발진 시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고견을 듣고자 글을 올립니다...  

파일

교통사고 상담 답변 내용보기 - 제목, 담당부서, 담당자, 담당연락처, 내용, 첨부파일 정보 제공
답변내용
작성일
먼저, 차량의 예상하지 못한 갑작스러운 문제로 인해서 금전적으로, 정신적으로 어려움을 겪으심에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급발진’이란 용어는 자동차에 오토미션을 제어하는 컴퓨터가 도입되면서 새롭게 떠오른 단어인데요.

제가 자동차 정비현장에 근무하던 70년대 초나 80년대 중반기까지도 자동차 용어로는 잘 쓰지 않던 단어입니다. 주로 항공모함이나 짧은 활주로 등에서 전투기가 공중으로 이륙할 때를 표현하는 용어로 사용이 되었고, 자동차에서는 ‘급출발’이나 ‘급가속’ 등의 표현을 주로 사용하였습니다. 현재 급발진이란 용어를 주로 사용하는 이유는 운전자의 예상이나 의지와는 관계없이 차가 급격히 돌진하는 현상을 강조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상담주신 글에서 일단, 사고차에 대한 보험처리를 하시고, 차를 되파셨다고 하셨으므로, 이번 상담에서는 앞으로 자동차를 운전하실 때 급발진 위험에 대비하기 위한 몇 가지의 사항을 요약해 드리겠습니다.

1. 급발진 사고 처리법

급발진 사고가 발생하였지만, 다행히 운전자가 크게 다치지 않았다면,
1) 모든 증거 확보가 필요합니다. - 구체적으로는 내 차의 블랙박스 영상확보는 물론이고, 주변 목격 차량이나 목격자, CCTV(거리, 상점, 건물 포함) 영상 등 내 과실이 없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는 가능한 한 모든 증거자료를 확보. --> 급발진 상황 시 내 차의 제동등 점등 여부나 운전자의 조작범위를 벗어난 차량의 돌발적인 거동 등은 내 과실 여부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2) 현장 출동 사고조사요원에게 스키드 마크(타이어에 의한 제동흔적)의 촬영과 자료확보 여부의 확인
3) 현장 출동 사고조사요원에게 운전 시 신고 있던 신발을 증거물로 제출 - 이는 급발진 상황 시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느냐 아니면 가속페달을 브레이크로 오인해서 밟았느냐를 신발 바닥에 남은 페달흔적을 분석해서 판단하는 간접적인 자료입니다.
4) 제조사나 정비공장이 아닌 공공기관인 국과수 또는 경찰청에 내 차의 EDR 데이터 분석의뢰

2. 급발진 상황 시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처법

A. 도심지나 세차장 등 내차 앞에 사람들이 있는 상태에서 급발진이 발생한 경우
1) 급발진 상황에서는 즉각 변속레버 중립(D->N위치)으로 조작하면서
2) 동시에 브레이크 페달을 한 번에 강하게 밟아야 합니다. -> 더블 브레이크 조작을 하지 말아야 합니다. 급발진 상황에서 브레이크 페달은 돌처럼 딱딱해지는데 이는 더블 브레이크 등의 조작으로 브레이크의 진공 배력장치가 순간적으로 진공이 없어지기 때문입니다. 이때에도 배력이 없는 유압브레이크는 작동합니다.
3) 지체없이 주차(사이드) 브레이크를 작동합니다.
4) 동시에 조향핸들을 사람이 없는 건물 벽이나 비교적 안전한 곳을 향하게 조작합니다.
5) 시간적인 여유가 있다면, 차의 시동을 끕니다.

B. 고속도로 주행 중 급발진이 발생한 경우
1) 일단, 비상등을 켜서 주변 차량들에게 내 차의 위급사항을 알립니다.
2) 핸들을 조작하며, 내 차가 가속됨에 따라 앞에서 급격히 다가오는 차량을 피하면서
3) 기어가 D위치인 상태로(기어를 빼지 말고) 가속페달 밑으로 오른발을 넣고 원위치(페달을 밟기 전의 위치)로 들어 올립니다.
4) 이어서 왼발로 브레이크 페달을 지긋이 서서히 밟으면서 안전한 갓길 쪽으로 차량을 이동하여 세웁니다. -> 이때 상황에 따라 주차(사이드) 브레이크를 겸용하여 조작합니다.
5) 트렁크를 열어 둔 상태로 가드레일 밖으로 대피하고 한국도로공사 등 관계기관에 신고합니다.

답글이 너무 길어지는 것 같아서 급발진 조치법만을 설명드립니다.
나머지 급발진에 대비한 차량관리는 현재 시행하고 있는 저희 경기도교통연수원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올해 연말 쯤에 계시하여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참고하시길 바라오며,
앞으로는 안전한 운행이 되기를 바랍니다.

아직은 코로나 19로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시기입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사업 번창하시고, 또한 보람 있고 행복한 일로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상담자문위원 황경수 드림
첨부파일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기획홍보팀
  • 담당자 정규수
  • 최종수정일 2023-03-09